
출처 :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1598
기사 원문 보기 이미지 클릭↑
자산운용 전략에 있어 정교한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포트폴리오 설계를 하고 있는 마크로헤지코리아가 첫 해외주식 혼합형 펀드 조성에 나섰다.
그동안 국내 테크 섹터 중심의 심층 분석과 롱온리(Long Only) 전략으로 안정적인 성과를 기록해온 마크로헤지코리아는 이번 해외주식 혼합형 펀드 조성을 통해 글로벌 시장으로 운용 영역을 본격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마크로헤지코리아는 현재 국내외 주식을 병행 편입하는 롱바이어스드(Long Biased) 전략의 사모펀드 설정을 준비 중으로, 이 펀드는 2025년 마크로헤지코리아가 선보이는 첫 전략형 상품이자 회사 설립 이래 처음으로 해외주식을 직접 편입하는 펀드라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업체 측의 운용 계획에 따르면 해외주식 30%, 국내주식 70% 수준으로 구성할 예정이며, 글로벌 종목군은 미국 시장 내 테크·인프라 중심 종목이 주 타깃이다. 특히 반도체, 2차전지 등 고성장 산업군에 대한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거시 흐름과 산업 트렌드를 결합한 탑다운 분석을 적용할 예정이다.
이번 펀드는 기관 수익자를 대상으로 하는 폐쇄형 사모펀드로, 복수의 금융기관이 참여를 확정한 상태다. 펀드 설정과 투자자 연결은 마크로헤지코리아가 자체적으로 구축해온 프라이빗 딜 소싱 및 캐피탈 인트로덕션 역량을 바탕으로 진행됐다. 이는 단순한 상품 개발을 넘어 기관 투자자 맞춤형 솔루션 제공이라는 본연의 강점을 반영한 사례라는 것이 업체 설명이다.
한편, 마크로헤지코리아는 현재 총 1300억원 규모의 헤지펀드를 운용 중이며, 일부 목표달성형 펀드의 청산에도 불구하고 중장기 투자자 맞춤 전략과 자산별 분산 모델로 안정적 운용력을 유지하고 있다. ‘실물자산 기반의 장기 성장형 자산운용’을 기치로, 철저한 기업 분석, 보수적 리스크 관리, 전략적 자산 배분을 통해 다양한 시장 환경에서 성과를 쌓아왔다. 특히 파생상품, 단기MMF 등을 활용한 비공매도 헤지 운용으로도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펀드를 통해 마크로헤지코리아는 향후 글로벌 포트폴리오 전략을 확대하는 신호탄을 쏘아 올릴 것으로 기대 중이다. 변동성이 큰 시장 환경 속에서 안정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갖춘 대안적 투자 상품에 대한 수요가 커지는 만큼, 이번 혼합형 펀드는 그 대안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마크로헤지코리아 관계자는 “고도화된 산업 구조 분석과 펀더멘털 중심의 리서치를 기반으로, 국내외 시장을 아우르는 입체적인 전략을 구현할 것”이라며 “특히 배당형 자산과 성장형 종목의 균형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해 시장 안전성과 변동성에 강한 투자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
출처 :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1598
기사 원문 보기 이미지 클릭↑
자산운용 전략에 있어 정교한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포트폴리오 설계를 하고 있는 마크로헤지코리아가 첫 해외주식 혼합형 펀드 조성에 나섰다.
그동안 국내 테크 섹터 중심의 심층 분석과 롱온리(Long Only) 전략으로 안정적인 성과를 기록해온 마크로헤지코리아는 이번 해외주식 혼합형 펀드 조성을 통해 글로벌 시장으로 운용 영역을 본격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마크로헤지코리아는 현재 국내외 주식을 병행 편입하는 롱바이어스드(Long Biased) 전략의 사모펀드 설정을 준비 중으로, 이 펀드는 2025년 마크로헤지코리아가 선보이는 첫 전략형 상품이자 회사 설립 이래 처음으로 해외주식을 직접 편입하는 펀드라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업체 측의 운용 계획에 따르면 해외주식 30%, 국내주식 70% 수준으로 구성할 예정이며, 글로벌 종목군은 미국 시장 내 테크·인프라 중심 종목이 주 타깃이다. 특히 반도체, 2차전지 등 고성장 산업군에 대한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거시 흐름과 산업 트렌드를 결합한 탑다운 분석을 적용할 예정이다.
이번 펀드는 기관 수익자를 대상으로 하는 폐쇄형 사모펀드로, 복수의 금융기관이 참여를 확정한 상태다. 펀드 설정과 투자자 연결은 마크로헤지코리아가 자체적으로 구축해온 프라이빗 딜 소싱 및 캐피탈 인트로덕션 역량을 바탕으로 진행됐다. 이는 단순한 상품 개발을 넘어 기관 투자자 맞춤형 솔루션 제공이라는 본연의 강점을 반영한 사례라는 것이 업체 설명이다.
한편, 마크로헤지코리아는 현재 총 1300억원 규모의 헤지펀드를 운용 중이며, 일부 목표달성형 펀드의 청산에도 불구하고 중장기 투자자 맞춤 전략과 자산별 분산 모델로 안정적 운용력을 유지하고 있다. ‘실물자산 기반의 장기 성장형 자산운용’을 기치로, 철저한 기업 분석, 보수적 리스크 관리, 전략적 자산 배분을 통해 다양한 시장 환경에서 성과를 쌓아왔다. 특히 파생상품, 단기MMF 등을 활용한 비공매도 헤지 운용으로도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펀드를 통해 마크로헤지코리아는 향후 글로벌 포트폴리오 전략을 확대하는 신호탄을 쏘아 올릴 것으로 기대 중이다. 변동성이 큰 시장 환경 속에서 안정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갖춘 대안적 투자 상품에 대한 수요가 커지는 만큼, 이번 혼합형 펀드는 그 대안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마크로헤지코리아 관계자는 “고도화된 산업 구조 분석과 펀더멘털 중심의 리서치를 기반으로, 국내외 시장을 아우르는 입체적인 전략을 구현할 것”이라며 “특히 배당형 자산과 성장형 종목의 균형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해 시장 안전성과 변동성에 강한 투자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